경제

주식 공매도 비율 보는법

N잡인더스트리 2025. 1. 8. 14:10
반응형

 

공매도 비율 보는법

이전글에서는 숏스퀴즈와 공매도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 중에 공매도를 어떻게 미리 알수 있느냐,

 

보통 주식 커뮤에서 "공매도때문에 하락했다" 라는 말을 많이 봤을거다.

그 사람들과 동시에 봐야 조금더 유리한 포지션을 가질 수 있고 매매에 도움이 된다.


야후 파이낸스

 

야후 파이낸스

인베스팅, Finra, 트레이딩뷰 등 있지만 가장 단순하고 찾기 쉬운것으로는 야후가 가장 좋다

 

아래 링크타고 가면된다. 주소로는 https://finance.yahoo.com/

 

Yahoo Finance - Stock Market Live, Quotes, Business & Finance News

At Yahoo Finance, you get free stock quotes, up-to-date news, portfolio management resources, international market data, social interaction and mortgage rates that help you manage your financial life.

finance.yahoo.com

 

 

들어가면 메인 화면이 나오고 빨간줄 그은곳에 찾고자 하는 주식의 종목명 또는 티커를 입력하면된다.

 

설명에서는 실SQ (티커: LAES)를 검색하겠다.

 

 

 

들어가면 차트 포함 여러가지 요소가 있다.

왼쪽 메뉴에 Statistics 를 들어간다.

 

그 다음 아래로 쭉 내리면 영어가 주르륵 나온다.

 

 

우리가 봐야 할건 저 빨간색 박스안의 Short 이 포함된 문구들이다.

 

공매도에 대한 것

 

Shares Short : 공매도된 주식의 총 수량 (9M = 9백만주)
Short Ratio :  공매도된 주식을 평균 일일 거래량으로 나눈 값
Short % of Float : 유통주식중 공매도된 주식 비율
Short % of Shares Outstanding : 발행된 전체 주식중에서 공매도된 비율
SharesShort (Prior month) : 지난달 기준 공매도 된 주식수

 

 

이렇게 보면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딱 중요한것만 짚어보겠다.

 

Short Ratio, Short % of Float 이 두개만 본다.


공매도에 대한 직접적인 수치

 

Short Ratio: 공매도 청산에 걸리는 시간(기간)

 

공매도자가 주식을 빌려 팔고 -> 다시 사서 갚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0.3이라는 수치는 1.0(1일) 기준으로 보면 7.12시간 정도다.

 

공매도자가 저 시간을 반드시 지켜야 하는건 아니고

저 시간은 시장에서 알아서 계산해준다. 저 수치가 커질수록 숏스퀴즈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0.3 이라는 수치는 공매도할 주식의 수량과 거래량으로 수치를 낸다.

 

저 수치가 높다면 공매도를 청산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고 리스크가 생긴다는 뜻

1 = 1일

5 = 5일

5.5 = 5일12시간  이렇게 이해 하면된다.

 

왜 길어질수록 리스크가 있느냐?

 

거래량이 적으면 원하는 가격에 매수를 할수 없기때문에 시간이 걸림

공매도자가 몰려서 주식을 되사려는 움직임 발생 - 수요

즉, Short Ratio가 높을 수록 "빌린 주식을 되갚기 어렵다" 라고 보면됨

 

그럼 그 수치의 기준은 어떻게 되느냐?

0~3 : 유동성이 많고 빠르게 끝나 안정적인 수치

5 : 주의 필요

10: 청산에 오래걸리고 숏스퀴즈 가능성이 높아짐.


Short % of Float: 유통주식중 공매도된 주식 비율

내부자 보유분 주식을 제외하고 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한 주식인 '유통주식'중

공매도에 얼마나 비율을 차지하느냐를 보는 지표다

 

100%를 기준으로 보며, 이 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주가에 끼치는 영향이 크고

변동성을 볼 수 있다

 

10%미만에서 20%사이 : 위험 수준은 보통

20%이상 : 공매도가 많고 숏스퀴즈 가능성 증가

30%이상 : 위험신호.. 변동성이 크고 주가가 급등할 가능성이 있음


 

주식 거래에 도움이 되는가?

 

이 수치가 변경되는 시점은?

한달 기준 두번이다. 

1. 집계일: 매달 15일과 말일

2. 공개일: 집계 후 약 7~10일 뒤

예: 1월 15일 데이터는 보통 1월 22~25일쯤 업데이트됨

    1월 말일 데이터는 보통 2월 7~10일경에 업데이트됨

 

이렇게 보면 너무 늦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트레이드에 도움은 안된다.

 

하지만 주가가 급등하면 공매도가 많아질수도 있다는 예측은 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