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공매도는 누가 하고 누가 빌려주며 서로에게 어떤 이득이 있는가?

N잡인더스트리 2025. 1. 7. 18:36
반응형

곰(Bear)는 하락세를 기대하는 투자자를 의미한다.

 

 

 

주식시장, 예상치 못한 반전 폭등 '숏스퀴즈', '공매도' 쉽게 설명

주식 시장에서는 예상치 못한 일들이 발생 하기도 한다. 그것이 손실을 안겨주거나, 반대로 큰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있다.목차숏스퀴즈와 공매도의 뜻숏스퀴즈 사례숏스퀴즈를 알아채는 방법이

issuewc.tistory.com

 

위의 글을 먼저 보고 오는게 이해하기 편하다.

 

이번 글은 공매도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본다.

 

공매도에 대한 궁금증 풀이

공매도에 대한 정의는 이전글에 작성했기 때문에, 대략적인 개념은 알거라 생각하고 설명한다.


주식가격이 올라서 손실을 줄이기 위해 또 산다는 의미는? 물타는 것과 같은 원리인가?

 '숏스퀴즈'같은 상황에 주식처럼 평단가를 낮추기 위해 

높은가격으로 더 사는것은 아니다.

 

이미 공매도로 매도를 한 이후이기 떄문에 조금이라도

손실을 줄이기 위해 비싸더라도 빠르게 사는것이다.

 

빌린 주식을 갚아야 하니깐

 

이미 내 손에 없는 주식을 싸게 살수 없으니 손실이 무한대로 커지기전에

비싼가격에 빨리 매수하여 갚으려고 하는 방어적인 행동임


공매도 비율이 높으면 숏스퀴즈가 날 확률이 높은 이유는?

공매도 비율이 높다는건? 유통 주식수에 영향이 갈 정도의 물량이 공매도되었다는 뜻

공매도 비율이 만약 40%라면, 총 유통주식수가 100주라고 쳤을때 40주가 공매도물량,

 

즉, 주가가 올라버리면 공매도 세력이 되사야 하는 물량이 많아지니 더욱 더 큰 변동성이 생김

 

반대로 공매도 비율이 낮다면? 주가에 변동성이 미미할 수 있음.

그래서 공매도 비율에 따라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냐 로우리스크, 로우리턴이냐의 차이


공매도의 대상이 되는 주식은 누구의 것이며 누가 빌려주는가?

개인도 공매도 가능?

개인도 공매도에 참여할 수 있다. 공매도 전용 계좌가 필요하고

증거금을 일정비율 이상 맡겨야하고 신용거래를 활요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공매도 대상 주식은 누구의 것?

공매도에 필요한 주식은 증권사가 빌려주며, 그 주식은 개인, 기관이 보유한 주식이다.

증권사가 마음대로 내 주식을 막 빌려주는게 아닌 '주식 대여 서비스' 라고 하는것에

가입이 되어있는 사람의 주식만 대여가 가능하다.

 

주식대여자가 볼 수 있는 이득은?

대여해주는 대가로 대여 수익(이자)를 받을 수 있음.

주주권리는 유지되며 배당금 또한 유지된다.

 

다만 대여가 된 주식이 잔고에는 그대로 보이지만, 바로 매도 할 수 없으며

매도하고자 하면 반환을 신청해야하며 그 사이에 시간차가 생긴다.

 

내가 대여한 주식이 공매도에 쓰이면 주가가 하락할것을 감당해야 한다.

장기투자자에게는 추가수익의 기회이기도 하다.


주가가 올랐을때 사지 않으면 손실이 무한대라고 했는데,

며칠 후에 다시 내려갈 수도 있는거 아닌가?

 

일반적으로 주식을 직접 매수매도 하는 개인 투자자라면 가능한 이야기지만

공매도를 하는 입장에서는 손실이 무한대로 커질 수 있는 아주 위험한 이야기다.

 

10000원짜리 주식을 공매도 했는데 반대로 올라간다고 가정해보자.

5만원, 10만원까지도 올라갈 수 있는게 주식이다. 그러면 손실은 무한대로 커지며

청산당하고 파산까지도 갈 수 있다. 그래서 그런 큰 리스크는 지지 않는게 좋다.

 

큰 손실을 막기 위해 작은 손실로 털어내버리는게 현명하다.


증권사가 공매도로 얻는 이득은?

1. 수수료 수익

주가가 오르던 내리던 빌린 기간 만큼 이자(수수료)를 얻는다.

 

2. 유동성 공급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거래량을 늘리는데 기여하기 때문에

거래 수수료를 함께 이득 볼 수 있다.

 

3. 리스크 회피

증권사도 주가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헷지 전략을 사용하여

손실을 막을 수 있음

 

4. 고객 서비스

공매도는 주로 기관이나 큰손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관계를 유지하고 다양한 금융서비스로 인한 이득을 보기위한 차원으로 빌려줌


증권사는 손해를 최대한 보지않기 위해 다양한 리스크 회피 전략을 세우고 있음.

 

다음에는 공매도 비율을 보는 법을 포스팅하겠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