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매매 정리

최고의 매수 위치, 타이밍은? 역배열과 정배열

N잡인더스트리 2024. 11. 27. 08:52
반응형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일때와 정배열일때의 느낌은 다르다.

일반적으로 역배열은 주가가 오랜기간 빠져있는 저평가 구간이고, 정배열은 주가가 상승추세를 타고 있는 고평가 구간이다.

역배열이란? 120일선 아래에 60, 20, 10, 5 일선 순서로 배열이 되어있는거고, 정배열은 그 반대다.

역배열이다.

저평가라고 하는게 이 회사의 가치보다 낮은 주가가 형성이 되었다고 해서, 너도나도 사면 안된다.

떨어지는 칼날을 잡는것과 같이 위험하다.

바닥인 줄 알고 매수했는데, 더 아래 지하실 구경까지 갈 가능성이 있는게 역배열구간이다.

그럼 반대로 정배열 구간은 고평가 구간이다.
주가가 한참 달리고 있는 구간이기때문에 변동성이 커진다. 매수를 잘못하면 순식간에 큰 손실을 볼수 있는 구간이기도하다.

정배열이다.


최악의 상황은 정배열 구간에서 매수하여 역배열로 진입하는 구간이 가장 최악이고 피해야한다.

그럼 도대체 어디서 사야하는가? 라고 하면
방금전에 얘기한 정배열에서 역배열되는 구간의 정반대구간..

역배열에서 정배열 되는 구간이다.

역배열에서 정배열 되는 구간.

변동성이 적고 하락하던 구간에서 브레이크가 걸리고
변동성이 생기며 정배열로 진입하는 구간, 5,10,20,60일선이 120일 위로 올라가기 직전에

매수하는것이 상승의 초입을 잡는 방법이다.

여기서는 물려도 다시 본전까지 올 가능성이 크기때문에 오히려 안전한곳이기도 하다. 물론, 이 종목의 업종과 테마도 파악이 되어야한다. 반짝 하고 내리꽂는 경우가 있기때문에 손절라인은 정하고 진입하자.


미국시장도 마찬가지다. 1달러도안되는 단타용 종목을 제외하고는 큰수익을 볼수있고 중장기로도 손색없는 구간이다. 그래도 분할매수는 필수다

단타꾼들은 보통 정배열에서 논다. 변동성을 이용하는거다. 역배열에선 변동성이 적을뿐더러, 돌파의 가능성이 적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