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적으로 대충 조정이란 올라가는 주가가 쉬어가는 구간이라고 알고있다.
사실 그 말이 가장 깔끔한 설명이다.
하지만 납득이 안될 수 있다. 왜?
좋은 주식이라면 계속 올라갈텐데 왜 조정을 거치느냐
1. 과열된심리
주가가 날마다 올라가면 과열상태에 들어간다.
너도나도 사는 주식 가격에 거품이 낀다.
이것을 진정 시키는 조정을 거쳐야만 한다.
주가를 올리는 주체도 자금적으로 부담이가고
사고자 하는 투자자들도 비싼 주가에 부담을 느낀다.
2. 차익실현 매물
신규매수세는 줄고 차익실현 매도세가 강해진다.
고점에 살까봐 사고자 하는 사람들이 부담을 느낀다.
단기투자자들의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면 그 누가 그 물량을 받을것인가? (보통은 주린이다)
3. 중장기 투자자들의 추가매수 유입
올라가던 주가가 조정이 나오면 중장기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들어온다. 고점대비 주가가 싸졌기 때문이다.
이렇듯 더 큰 상승을 위해서는 반드시 조정이 필요하다.
조정이 나와야 더 강한 매수세가 들어오기가 수월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모든 투자자들이 인지하고 있기때문에 계속 올라가기만 하는 주식은 조심해야하고 조정이 없으면 더 큰 폭락이 나올 수도 있음을 명심해야한다.
주식 생활 오래하고싶다면 조정을 기다릴수있는 인내가 반드시 필요하다.
반응형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00원 vs 13000원 당신은 만원을 선택했다. '패닉셀' (0) | 2025.01.09 |
---|---|
물리지 않으려면 시장을 조금 비관적으로 바라봐야할 시기 (2) | 2024.12.23 |
나스닥 급락을 알아채려면 분위기를 파악해야한다 (1) | 2024.12.19 |
미국주식이 내려가면 할인한다고 더 좋아하는 이유 (3) | 2024.12.17 |
레버리지 주식은 보유기간이 길어질수록 손해를 본다. 음의 복리 (0) | 2024.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