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주식투자를 하면 왜 망한다고 하는 것일까?

N잡인더스트리 2024. 11. 1. 15:04
반응형

 

 

한국에서 주식투자를 하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게 기본값이다.

어른들부터 당장 근처의 회사동료라던가 가족이라던가, 친구라던가

그 이유가 무엇일까? 

 

나도 어릴적부터 그런 얘기들을 듣고 자라서 그런가 나이가 30살이 넘을때까지도 투자라는것에 대해 전혀 무관심했다.

투자는 돈이 많은 사람들이 하는거고, 오로지 부자가 되는 방법은 로또가 되거나 사업을 크게 성공해야 된다는 생각만 있었다..

 

중식당을 운영하다가 어느순간 이렇게 살다가는 평생 주방에 갇혀서 내 미래를 펼쳐보지도 못한채 나이가 들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주식투자를 해야겠다고 마음 먹은 계기는 딱 하나다.

로또.. 만약 로또가 된다면을 일반적으로 집을 사고 빚갚고 뭐 차를 바꾸고 그런 얘기들을 한다

 

그런데? 언젠간 소비가 될돈이고 그 이후는? 다시 로또를 바라거나 근로소득으로 먹고 살것인가?

 

부동산을 사서 월세를 받고 관리를 하고 그런것도 사실 투자다, 그것도 어느정도의 자금을 가지고 계획적으로접근 해야 하는것이고, 세입자가 꾸준히 나타나리라는 보장도 없다.

 

 

 

그래서 나는 로또가 되면 그 돈이 소비가되지 않고 유지 또는 불릴 수 있는 가장 가까운 방법이 뭘까 하다가

생각 한게 주식투자다.

 

제목과 같이 주식투자를 부정하는 이들의 공통점은 딱 하나다.

 

'공부 하지 않고 지인의 추천 또는 뉴스를 보고 재산 몰빵 때려서 존버하다 상장폐지'

 

여기서 가장 핵심은 '공부를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지금에서 주식 투자를 한다는 사람들과 얘기를 나누면 말이 안통한다. 왜? 기본적인 캔들도 모른다.

양봉음봉도 모른채 오로지 기업을 보고 매수를 했고 상장폐지가 되어서 휴지조각이 되었다.

이것밖에 말 할줄 모른다.

 

생각해봐라.. 평생 공부만 해서 어렵게 대기업취직한 사람들이 받는 연봉의 수준을 고작 클릭 몇번만으로 벌어보겠다고 한다.. 꿈도 크다

 

도박으로 접근 한다는 것이다.

 

 

 

나는 성격상 하지말라고 하는것을 내가 직접 보고 경험해봐야 한다.

그래서 책부터 사서 기본적인 캔들, 차트, 재무, 호가, 보조지표, 뉴스, 테마, 거래량, 거래대금, 수급등등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거기서 추가로 마인드 정립등, 차트의 패턴이나, 좋은 뉴스 나쁜 뉴스 등등

처음엔 진짜 머리가 복잡하다. 뭐가 뭔지 모르겠고 같은걸 몇번이나 보고 이해를 해야만 했다.

 

유튜브를 보면서 보조지표로 차트를 가득 채운적도 있었고 검색기를 따라 만들던가

무슨 필승법이 있는것 마냥 정답을 찾아 다녔다.

 

근데 공부를 하면 할수록 어려운게 주식시장이고 정답은 없고 오답은 존재한다.

살아있는 생물과 같아서 매번 다른 시장이고, 지수도 체크 해야하며 고려할게 정말 많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계속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는? 몸에 베어야한다. 매커니즘을 이해 해야하고

심리싸움에서 이겨야 하며, 마켓트레이딩으로 시장 관점을 볼줄 알아야 하는 수준까지

 

'기본'적인 것들을 먼저 습득 하고 가야 한다는 것이다.

 

매수매도도 잘 모르는 사람에게 시장관점을 보라 하면 무슨말인지 모를 수밖에 없고

공부를 어느정도 한사람에게 말을 해도 어려운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를 해야한다. 한국시장과 미국시장은 다르다.

자기 성향에 맞는 방법을 꾸준히 찾아야 하고 이거 아니면 안된다는 생각으로 절실하게 공부 해야 한다는것이다. 

 

나조차도 아직 멀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오로지 로또 라는 복권밖에 보이지 않았던 나에게

주식시장은 또 하나의 가능성있는 희망으로 보여졌다는 것이다.

 

 

 

2024.10.28 - [주식•경제] - 주식투자를 당장 해야하는 이유

 

주식투자를 당장 해야하는 이유

sns에서 보고 가져왔다.. 여기서 핵심은 가장 아래 현금이다. 현금은 갈수록 가치가 떨어진다. 적금을 하던 예금을 하던 현금으로 보유를 하던 떨어진다. 시간이 갈수록 투자를 하지않았음에도

issuewc.tistory.com

 

 

 

반응형